지난 2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조기 타결을 위해 교섭에 속도를 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일 외교 당국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논의하기 국장급 협의가 이달 내로 추진할 방침입니다. 현재까지 국장급 협의는 총 9번 열렸는데요. 양국 정상이 일본군 ‘위안부’ 조기 타결을 힘주어 말한 만큼 이번에 열릴 국장급 협의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조만간 열릴 국장급 협의를 앞두고 한일 양국은 서로에게 견제구를 던지고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고자 여론전을 펼치는 것인데요. 특히, 일본이 아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일본 언론은 정상회담이 끝난 직후 일본 정부가 검토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방안 등을 기사로 쏟아냈는데요. 특히, 일본 정부의 후원을 받는 민간단체가 설립한 ‘아시아여성기금’의 후속 사업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인도적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대두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국가 차원의 책임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아베 총리와 그의 최측근 하기우다 고이치 관방장관의 발언도 눈길을 끄는데요.
아베 총리는 지난 4일 일본 자민당의 다니가키 사다카즈 간사장과의 회동 자리에서 "한국에서 연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한다는 말이 있으나 양측의 기본적인 입장이 다르다. 연내로 기한을 두면 (협상이) 어려워진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청와대가 줄곧 밝혀 온 ‘연내 위안부 문제 타결’ 목표에 반하는 발언입니다.
우리 정부는 아베 총리의 발언이 있고 바로 다음 날 일본 정부가 성의있는 자세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아베 총리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회동에 참여한 다니가키 간사장은 "아베 총리가 기한을 두면 협상이 어려워질 수 있으나, 연내 타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발언 내용을 정정했습니다.
더불어 하기우다 고이치 관방장관은 지난 5일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공은 한국 쪽에 있다. 어떤 방안이면 성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것인가. 한국의 제안을 기대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는데요. 일본이 적합한 해결 방안을 한국 측에 제시했으니, 우리가 한 발 뒤로 물러서 이를 받아들이라는 압박 전술의 일종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일본 측이 가해자로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결자해지 차원에서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조속히 내놔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