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그룹 오너와 임원들의 ‘청년희망펀드’ 기부 릴레이가 이어집니다. 지난달 19일까지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에 쌓인 기부금은 56억 원이었습니다. 적지 않죠. 그러나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지난 22일 사재 200억 원을 쾌척한 이후 대기업 오너들이 기부하겠다고 밝힌 금액만 약 800억 원에 달합니다.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 200억 원, 임원진 50억 원
△현대자동차그룹 정몽구 회장 150억 원, 임원진 50억 원
△LG그룹 구본무 회장 70억 원, 임원진 30억 원
△효성그룹 조석래 회장 16억 원, 임원진 4억 원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70억 원, 임원진 30억 원
△SK그룹 최태원 회장 60억 원, 임원진 40억 원
‘억’ 소리 나는 기부금에 “통 큰 기부”,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찬사가 이어집니다. 정부 관료와 정치인 등이 기부 약정한 금액과는 그야말로 ‘비교를 거부’합니다.
그러나 이 같은 수백억 기부 릴레이는 오히려 예견된 ‘부작용’이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습니다. 펀드 출범 당시 이미 기업이 고용을 확대해 인건비를 지출하느니, 목돈을 내놓고 청년 고용에 ‘생색’만 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청년고용펀드의 준 조세적 성격, 즉 기업에 기부를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있었습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이 같은 우려에 대해 “대기업 기부는 안 받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삼성에 2,000억 원 내라고 하고 기업에 돈을 대라고 하면 금방 1조 원을 모을 수 있겠지만, 그렇게 할 경우 기업이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노력에 제한이 된다”
법인이 아니라 ‘오너’와 ‘임원진’이 갹출한 기부금은 “기업이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노력에 제한”이 되지 않는다는 정부의 판단이 선행된 걸까요?